Current Issue
July 2024
Vol.14 No.2
본 학회지는 의 목적(Aim)은 대한연하장애학회의 공식 학술지로서 연하장애와 관련된 전문성과 진료에 도움이 되는 근거바탕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학회지의 범위(Scope)는 연하장애의 일차의료 관련 기초, 임상 연구, 역학 연구, 보건의료서비스 연구, 의료제도 연구를 포함한다. 본 학회지는 원저(original article), 증례 보고(case report), 종설(collective or current review), 특별 종설(Special review), 질의답변(brief communication or correspondence) 등으로 하며 위에 속하지 않은 기타 원고는 간행위원회에서 게재여부를 심의 결정한다.
본 학회지의 편집 정책은 기본적으로 국제 의학 저널 편집자위원회 (http://www.icmje.org)에서 발행 한 "의료 저널에서의 학술 연구 수행, 보고, 편집 및 출판에 대한 권장 사항"을 기반으로 한다. 본 투고 규정에 언급되지 않은 사항은 상기 권장사항을 따른다.
타 학술지에 이미 발표되었거나 발표예정인 논문이나 타지에 발표 된 유사한 내용은 게재를 불허하며 윤리규정 및 표절/중복게재/연 구 부정행위 등 모든 연구윤리와 연계되는 사항에 대한 심사 및 처리 절차는 대한 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에서 제정한 의학논문 출판윤리가이드라인(https://www.kamje.or.kr/board/lists?b_name=bo_publication)과 출판 윤리위원회 (COPE, https://publicationethics.org/)의 지침을 기반으로 한다. 연구/출판 윤리에 대한 부정행위 발생시, 명시된 본 학회의 연규윤리규정에 따라 심사 및 후속조치가 진행된다. 모든 저자는 저널 홈페이지에 게시된 연구윤리규정 및 논문투고규정을 숙지하고 연구/출판 윤리 문제 발생 시 따르는 후속조치에 대해 적극적으로 협조 하여야 한다.
본 학회지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의 논문유사도검사 서비스를 이용한 표절 검증 절차가 심사 과정에 포함된다.
3-1. 인간 대상 연구 윤리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연구는 헬싱키 선언에 명시된 원칙을 지켜야 한다
(https://www.wma.net/what-we-do/medical-ethics/declaration-of-helsinki/doh-oct2008/). 모든 실험 대상자로부터 연구 참여 및 출판에 대한 충분한 설명 뒤의 사전동의(Informed consent)를 얻어야 하며, 공인된 기관의 연구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편집위원회는 IRB 승인 서류 혹은 사전 동의서의 사본을 제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인체 유래물 연구의 경우, 실험 대상자로 부터 출분한 설명 뒤의 서명동의를 받아야 한다. 해당 사항이 있는 논문의 경우, 표지파일에 IRB 승인 내용, 서면 동의 내용을 기술하여야 한다.
3-2. 동물 대상 연구 윤리
동물 실험은 실험 동물 사용에 대한 NIH 지침
(https://grants.nih.gov/grants/olaw/guide-for-the-care-and-use-of-laboratory-animals.pdf)을 준수 하고,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편집 위원회는 연구에서 동물에 대한 윤리를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위원회 (예 : IACUC 기관 동물 관리 및 사용위원회)의 승인 서류를 제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해당 사항이 있는 논문의 경우, 표지 파일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 내용을 기술하여야 한다.
3-3 저자됨
대한연하장애학회지의 저자됨은 국제 의학 저널 편집자위원회 (http://www.icmje.org)에서 제안하는 저자됨을 기본으로 다음의 네가지 분야에 상당한 기여를 한 이로 한정한다.
(http://www.icmje.org/recommendations/browse/roles-and-responsibilities/defining-the-role-of-authors-and-contributors.html)
1) 연구의 개념 또는 설계, 데이터 획득, 분석, 해석
2) 논문의 초안 작성과 심사에 대한 수정
3) 발간본에 대한 최종 승인
4) 연구 결과의 정확성과 무결성을 포함한 연구의 모든 측면의 책임
모든 논문은 표지 파일에 각 저자들의 ORCID와 함께 역할에 대한 기술을 하여야 한다.
3-4. 이해상충선언
모든 연구는 이해상충선언에 대하여, ICMJE Disclosure Form 에 명시된 대로 다음의 이해상충선언을 하여야 한다.
모든 저자는 저자 본인, 소속기관 그리고 가족의 해당 연구에 대한 모든 금전적/비금전적 이해상충관계에 대한 기술을 표지파일에 하여야 한다.
또한 책임 저자는 연구의 경쟁관계에 대한 이해상충관계를 밝혀야 한다.
3-5. 특수관계인 공저
연구자가 미성년자(만 19세 이하인 자) 또는 가족(배우자, 자녀 등 4촌 이내) 과 같은 특수관계인과 공동으로 논문을 발표하고자 할 때는 특수관계인의 유형과 논문의 저자로 포함되어야 하는 사유를 별도로 작성하여 “Cover letter”양식으로 투고시스템에 업로드 해야만 한다.
게재가 결정된 원고의 저작권은 대한연하장애학회로 귀속되며 논문의 저자는 저작권 이양에 동의해야 한다. 저자가 저작권 이양에 동의함으로써 대한연하장애학회는 게재된 원고를 학회지나 다른 매체에 출판, 매도, 인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원고는 한글 또는 영어로 작성할 수 있으며 모든 원고의 초록과 참 고 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한다. 한글논문 작성 시 학술용어는 교육부 발행 과학기술용어집이나 대한의사협회에서 발행한 의학용어집 최신판에 준하여 한글로 표기한다. 단 원어를 우리말로 번역하였을 때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을 시에는 괄호 안에 원어나 한자를 첨부할 수 있다. 약품명은 특정 상품에 대한 연구가 아닌 한 원칙적으로 일반명으로 표기한다. 성별에 대한 용어는 정확히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연구 방법에 이를 기술해야 한다. "SEX"는 생물학적, 생리적인 변수이며 "GENDER"는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 변수를 나타날 때 사용한다.
인명, 지명 그 밖에 고유명사는 그 원자(原字)를 사용하며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한다. 길이, 높이, 질량, 부피 등의 측정 단위는 모두 미터법 단위(미터, 그램, 리터 등)의 십배수로 사용한다. 온도는 ℃ 로, 혈압은 mmHg 을 사용한다. 혈액학적 수치와 임상검사상 의 검사 외에는 통상적인 단위나 국제단위를 사용한다. 기자재나 시약의 경우 상품명(제조사, 도시명, ㈜ 국가) 형식으로 표기한다.
① 원고의 작성 시 MS Word(.doc) 문서작성 프로그램으로 작성하여야 한다.
② 원고는 A4용지를 사용하고 맞춤법, 띄어쓰기를 정확하게 한다.
③ 원고는 사방 2.5cm 의 여백을 두고, 행간은 두 칸[MS word 프로그램의 줄 간격 double space (2.0)]으로 하고 원고의 본문 글자 크기는 12로 한다.
④ 원고는 표지를 첫 페이지로 하여 각 장에 일련번호와 줄번호를 붙이고 원본과 저자의 인적사항을 삭제한 심사용 파일을 첨부하여야 한다.
모든 원고는 표지→ 초록 → 본문 → 참고문헌 → 도표 → 그림/사 진의 순으로 독립되게 구성한다.
1) 표 지
<구 성>
논문제목, 저자, 소속기관, 공지사항 등을 표기한다.
<논문제목>
한글 논문인 경우에는 반드시 영문제목을 표기하여야 하며 영어제목 은 첫 글자만 대문자로 한다. 제목은 부제목을 포함하여 한글의 경우 50 자 이내, 영문의 경우 100 자 이내로 한다. 이 때 편집상 필요한 '간추린 제목'을 병기하며 이는 간행위원회에서 보완/변경할 수 있다.
<저자>
저자명기는 논문작성의 기여도 순으로 배열하며 대표저자(제 1 저 자)를 처음에 기재하고 이후 각 저자의 소속을 자세히 기재한다. 저 자명 사이는 쉼표로 분리하여 나열하며 영문이름은 full name 으로 표기하여야 한다.
<소속기관>
제 1 저자와 다른 소속을 가진 저자는 아라비아숫자로 각 저자 이름 뒤에 어깨표시로 하고 표지하단에 어깨표시에 맞춰 각 저자가 소속된 대표적 인 기관을 국문과 영문으로 각각 표기한다. 교신저자는 별도로 기록하되 성명, 소속, 주소, 전화, 이메일을 국문과 영문으로 자세하게 표기한다.
<공지사항>
연구비 수혜논문 여부, 연구지원 관계 등에 대하여 기술한다.
2) 초 록
<형식>
모든 원고의 초록은 영문으로 작성한다.
<내용>
초록에는 원고의 제목, 저자, 소속을 표시하지 않고 원고의 목적, 연 구대상 및 방법, 결과와 결론의 순서로 구문을 나누어서 정리하고 원고의 내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간결하게 서술하여야 한다. 증례보고인 경우에는 서론, 증례 및 결론 순으로 한다.
<분량>
원저나 임상연구 논문은 영문 250 단어 이내로 하고 증례보고, 종설 등은 영문 200 단어 이내로 작성함을 원칙으로 한다.
<중심단어>
초록의 끝부분에 5 단어 이내의 중심단어(key word)를 부여한다. 가 능하면 해당 중심 단어가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의 Medical Subject Heading(MeSH)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3) 본 문
<구성>
원저/임상연구의 경우에는 서론 → 연구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 찰 → 결론 등의 순서로, 증례보고 등의 경우에는 서론 → 증례보고 → 고찰의 순서로 구성함을 원칙으로 한다.
<저자인용>
본문 중에 참고문헌의 저자를 인용할 경우 외국인은 성(Surname) 만 기술하고, 한국인은 영문 성을 적는다.
예) Laskin 등, Park 등
① 서 론
논문의 목적과 연구배경 및 원리를 요약하고 참고문헌도 직접 관련 된 것으로 제한한다. 관련된 주제를 광범위하게 재론하거나 종설처럼 나열하지 않고 발표 할 결과나 결론을 포함시키지 않도록 한다.
② 대상 및 방법
대상 및 방법 연구방법을 제시한다. 환자, 실험동물 또는 대조군 등을 명백하게 제시하고 다른 사람이 이 방법에 따라 동일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자세하게 적는다. 특히 대상질병을 확인한 방법과 관찰자의 주관을 통제한 방법을 설명한다.
통계처리를 포함하여 잘 알려진 방법은 참고문헌을 제시하고 아직 생소한 방법을 사용하거나 기존의 방법을 개량하여 사용하는 경우 에는 참고문헌과 그 내용을 간단히 소개하고 그러한 시도를 하게 된 이유와 장단점을 함께 제시한다.
연구방법 중 사람과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의 경우, 연구윤리 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심의를 받아야 하며, 승인 번호를 원고에 명기하여야 한다.
③ 결 과
관찰 결과를 논리적 순서로 기술하며 본문과 맞추어 표와 그림, 사 진을 사용하며 도표에 있는 모든 자료를 본문에 중복하여 나열하지 않고 중요한 요점과 경과를 기술한다.
④ 고 찰
연구의 결과 중에서 중요하거나 새로운 소견을 강조하고 이에 따른 결론을 기술한다. 서론과 결과에 기술한 것을 중복하여 기술하지 않도록 한다.
연구결과의 적용범위나 해석상의 한계, 향후 연구에서 활용가능성 등을 기술한다. 또 관계된 다른 연구결과와 비교 고찰하고 이 연구 의 목적과 결론을 상호 연계시킨다. 이때 자료에 근거하지 않는 결론이나 근거 없는 주장은 삼간다. 얻은 자료에 근거하여 주장 가능한 새로운 가설을 제안 하고 이를 확인하는 적절한 방안을 포함하여야 한다.
⑤ 결 론
서론에서 제기한 문제와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과 고찰에서 정리 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한다. 이때 결과부분에서 언급된 연구결과를 그대로 옮겨 적지 않도록 하며 논문에서 얻은 저자의 주장을 포함시킨다.
4) 참고문헌
<원칙>
모든 참고문헌은 영문으로 작성한다. 한글로 작성된 논문도 영문으로 참고문헌을 작성한다.
<숫자>
인용되는 참고문헌 수는 아래 규정에 따른다.
논문분류 | 참고문헌수 |
---|---|
종설 원저 증례보고 임상연구 질의/답변 |
제한 없음 50개 20개 이내 30개 이내 5개 이내 |
<인용번호>
본문에 인용된 순서에 따라 아라비아 숫자로 번호를 부여하고, 본문 에는 어깨번호로 일치시킨다. 이때 괄호는 사용하지 않는다. 본문의 마지막에 인용번호를 넣는 경우 마침표 앞에 넣는다.
예) 연하장애는 두경부 종양 수술 후 흔히 발생한다.1<
여러 개의 참고문헌이 인용된 경우는 콤마를 이용한다.
예) 연하장애는 두경부 종양 수술후 흔히 발생한다1,3,4.
연속된 3개 이상의 참고문헌은 - 로 연결한다.
예) 연하장애는 두경부 종양 수술후 흔히 발생한다1-5.
<배열>
인용 순으로 배열한다.
<저자이름>
외국인의 경우 성을 적은 후 이름은 약자로 표기하며 한국인의 경우 도 영문으로 성을 적은 후 이름은 약자로 표기한다.
예) Nelson RL, Park JU, Lee W
<저자숫자>
저자는 6 명까지만 기록하고 7 명 이상인 경우는 'et al.' 로 표시한다.
<기술형식>
i)정기 간행물의 경우: 저자명. 논문제목. 잡지이름(Index Medicus 에 등재된 약자). 연도;권:시작쪽-끝 쪽(바뀐 숫자만). (저자명은 성은 첫글자를 대문자로 쓰고 이름은 약어로 표시한다)
예) Guyomard V, Fulcher RA, Redmayne O, Metcalf AK, Potter JF, Myint PK. Effect of dysphasia and dysphagia on inpatient mortality and hospital length of stay: a database study. J Am Geriatr Soc. 2009;57:2101-6
ii) 단행본의 경우: 저자명. 책이름. 판수. 출판도시: 출판사, 출판연도.
예) 예) 1. Babbush CA. Implants. 1st ed. Philadelphia: W.B.Saunders Co., 2001.
iii)단행본에서 인용하는 경우: 장 저자명. 장 제목. In: 편집저자명,editor. 책이름. 판수. 출판도시: 출판사, 출판연도; 시작쪽-끝 쪽
예) 1. Byrne BE, Tibbetts LS. Conscious sedation and agents for the control of anxiety. In: Ciancio SG, ed. ADA guide to dental therapeutics. 3rd ed. Chicago: American Dental Association; 2003:17-53.
5) 도 표
<원칙>
원고 1장에 도표 1개씩 간결하고 명확하게 영문 문장으로 작성한다.
<번호/제목>
i)도표 번호와 제목은 도표의 상단에 작성하며 표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정렬한다. 연 번호는 'Table'이라는 표시 뒤에 아라비아 숫자 번호를 사용하며 숫자 뒤에 마침표를 찍는다.
예) Table 1. Age and sex distribution.
ii)제목 첫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를 사용하고 제목의 끝에 마침표를 찍는다.
<주 석>
어깨표시나 약자로 표기한 부분의 설명은 도표의 좌하단에 기술한 다. 기술방법은 괄호 안에 약어: 설명으로 한다.
6) 그림/사진
<원칙>
그림이나 사진은 인쇄과정에서 축소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도록 원고 1 장에 그림/사진 1 개씩 충분히 크고 명료하게 작성하되 깨끗 하고 선명한 원본 사진이라야 한다. 파일로 제출 시 해상도가 300dpi 이상이어야 한다
<번호/제목/설명>
i) 일련번호는 'Fig'라는 표식 뒤에 마침표를 찍고 한 칸을 띄고 본문 인용 순서대로 아라비아 숫자번호를 사용하며 마침표를 찍는다. 본문에서 문장의 제일 마지막에 인용한 경우는 마침표 다음에 빈 칸 없이 괄호를 이용하여 삽입한다.
예) 정상연하의 모식도는 다음과 같다.(Fig. 1.)
ii) 제목 및 설명은 영문으로 하고 첫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한다.
예) Fig. 1. Normal physiology of swallowing
iii) 여러 개의 사진을 하나의 Fig 안에 설명할 때는 대문자 A, B 등으로 나누고 그림의 설명은 아래와 같이 한다. 어깨표시나 약어는 Table 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다.
예) Fig. 1. A. Diagram of swallowing. B. Anatomy of swallowing.
7) 동영상
<원칙>
짧은 동영상의 경우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보충자료 (Supplement)로 30Mb 미만크기의 mp4파일로만 제출하되, 온라인 저널 홈페이지에만 게재된다. 투고 시스템 제출 시 ZIP파일로 압축하여 supplemental 분류로 업로드 하여야 한다.
원고 접수는 수시로 하고 접수일은 간행위원회에 접수된 날로 한다.
접수된 원고는 학회에서 의뢰한 심사위원들 중 2인의 맹검 동료평가(Blind peer review) 심사를 한다. 두 심사위원의 의견이 다를 경우 학회에서 의뢰한 제 3의 심사위원이 추가 심사를 한다. 심사위원들의 심사내용을 바탕으로 간행위원회는 원고가 1) 게재 가능 2) 수정 후 게재 3) 수정 후 심사 4) 게재 불가 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심사위원의 평가 내용은 교신저자에게 전자 메일로 통보되며, 간행위원회에서 수정/보완을 요구 할 수 있다. 수정이 필요한 원고의 경우, 교신 저자는 수정된 원고를 온라인으로 다시 제출하여야 한다. Microsoft Office Word의 변경 내용 추적 도구나 하이라이트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사항을 강조 표시하여야 한다. 또한 해당 교신 저자는 심사자의 매 평가 의견마다 답변을 해야 하고 변경사항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 간행위원회는 원본의 무결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원고의 구조와 문구를 변경할 수 있다. 심사 과정이 완료된 후 간행위원회는 최종 게재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해당 저자에게 전자 메일로 통보한다. 심사 결과에 이의가 있는 경우, 교신저자는 학회 공식 전자메일 (kdys@kdys.or.kr) 로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이의 신청된 논문은 간행위원회에서 재검토를 하여 추가 심사의 필요성을 결정하고 해당 결과를 교신저자에게 통보한다. 본 투고 규정을 준수하지 않은 원고는 저자에게 수정을 요구하거나, 출판에서 보류될 수 있다. 통보 후 2개월 이내에 원고를 다시 제출하지 않으면 저자가 원고를 철회 한 것으로 간주한다.
원고의 저자는 논문 게재료 또는 별책이 필요한 경우 그 비용을 부담하여야 한다.
논문분류 | 논문 게재료 |
---|---|
원저 및 종설 증례보고 및 기타 특별 종설 및 질의답변 |
5만원 3만원 0원 |
연 2 회 (1 월 30 일, 7 월 30 일) 발행을 원칙으로 한다.
원고는 대한연하장애학회 홈페이지(www.kdys.or.kr)에서 온라인 논문투고를 원칙으로 한다.
Seoyon Yang, M.D., Ph.D., Jin-Woo Park, M.D., Ph.D, Kyunghoon Min, M.D., Ph.D, Yoon Se Lee, M.D., Ph.D, Young-Jin Song, O.T., Seong Hee Choi, Ph.D, Doo Young Kim, M.D., Seung Hak Lee, M.D., Ph.D, Hee Seung Yang, M.D., Ph.D, Wonjae Cha, M.D., Ph.D, Ji Won Kim, M.D., Ph.D, Byung-Mo Oh, M.D., Ph.D, Han Gil Seo, M.D., Ph.D, Min-Wook Kim, M.D., Ph.D, Hee-Soon Woo, O.T., Ph.D, Sung-Jong Park, S.T., Sungju Jee, M.D., Ju Sun Oh, M.D., Ki Deok Park, M.D., Ph.D, Young Ju Jin, M.D., Sungjun Han, M.D., DooHan Yoo, O.T., Ph.D, Bo Hae Kim, M.D., Ph.D, Hyun Haeng Lee, M.D., M.S., Yeo Hyung Kim, M.D., Ph.D, Min-Gu Kang, M.D., Eun-Jae Chung, M.D., Ph.D, Bo Ryun Kim, M.D., Ph.D, Tae-Woo Kim, M.D., Eun Jae Ko, M.D., Ph.D, Young Min Park, M.D., Ph.D, Hanaro Park, M.D., Min-Su Kim, M.D., Ph.D, Jungirl Seok, M.D., Sun Im, M.D., Ph.D, Sung-Hwa Ko, M.D., Ph.D, Seong Hoon Lim, M.D., Ph.D, Kee Wook Jung, M.D., Ph.D, Tae Hee Lee, M.D., Ph.D, Bo Young Hong, M.D., Ph.D, Woojeong Kim, M.S., R.D., Weon-Sun Shin, Ph.D, Young Chan Lee, M.D., Sung Joon Park, M.D., Jeonghyun Lim, Ph.D, R.D., Youngkook Kim, M.D., Ph.D, Jung Hwan Lee, M.D., Ph.D, Kang-Min Ahn, D.D.S., M.S.D., Ph.D, Jun-Young Paeng, D.D.S., Ph.D, JeongYun Park, R.N., Ph.D, Young Ae Song, M.S.N., R.N., Kyung Cheon Seo, M.D., Chang Hwan Ryu, M.D., Jae-Keun Cho, M.D., Ph.D, Jee-Ho Lee, D.D.S., Kyoung Hyo Choi, M.D., Ph.D
J Korean Dysphagia Soc 2023; 13(2): 77-106
Kyeong Woo Lee, M.D., Sang Beom Kim, M.D., Min-Gu Kang, M.D., Jong Hwa Lee, M.D., Won Wook Ha, M.D.
J Korean Dysphagia Soc 2023; 13(1): 48-53
Jungyun Kim, M.D., Mi Jin Hong, M.D., Dong-Jin Chae, M.D., Jong Bum Park, M.D., Yung Jin Lee, M.D.
J Korean Dysphagia Soc 2023; 13(2): 133-138
Weon-Sun Shin, Ph.D.
J Korean Dysphagia Soc 2021; 11(1): 1-8
Kui-Jeong Choi, Young-Sook Park, Ph.D., Min Yong Seong, M.D., Byung-Mo Oh, M.D., Ph.D., Weon-Sun Shin, Ph.D.
J Korean Dysphagia Soc 2021; 11(1): 15-24
Dong-Hwan Oh, O.T., Han-Sol Park, Ga-Eun Kim
J Korean Dysphagia Soc 2022; 12(1): 1-13